허명욱
Huh Myoung Wook
1966-



Untitled
Ottchil on metal, 90x70cm, 2018


UntitledOttchil on metal, 90x70cm, 2018












CV
EDUCATION
서울과학기술대학 금속공예학과 졸업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Undergraduate School of Fine Art- Metal Craft
SOLO EXHIBITION
2018 구하우스 미술관, 경기
한영아트센터(갤러리 노마), 대구
2016 아라리오 갤러리, 서울
조은숙 갤러리, 서울
2015 조은숙 갤러리, 서울
2014 우라소에시 미술관, 오키나와 일본
로얄갤러리 초대전, 서울
그외 다수
TEXTS
전통적인 옻칠을 현대적으로 풀어내는 작가, 허명욱
허명욱의 작업은 조금 특별한 데가 있다. 물감이 아닌, 전통 적인 옻칠을 기용하여 자신의 작업을 꾸려가기 때문이다. 가장 전통적인 방식을 찾은 끝에 그가 내린 결론은 옻나무에서 채취한 옻을 예술재료로 사용해보자는 발상이었다. 옻나무는 전국 어디서나 잘 자라기 때문에 우리겨레는 일찍부터 천연도료인 옻칠을 애용해 왔다. 그 기원이 BC 3세기경으로 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하니 굉장히 오랜 세월 사랑을 받아 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옻의 사용은 가구, 칠기, 공예품 등 생활도구의 차원에 머물러왔다.
그러나 문제는 나무를 보호하고 광택을 내는데 쓰이는 옻칠 을 어떻게 회화의 재료로 응용하는가 하는 문제였다.
작가는 이 문제의 해법을 다른 안료와 혼합하여 옻칠의 고유성을 살리면서도 독특한 표정을 갖도록 하는 방식에서 찾았다. 담 백하고 수수한 미의 성정을 선호한 옛사람들의 기호에 따라 그의 작업도 단 한번의 필선이나 기교에 의해서가 아닌 무 수한 행위의 축적 위에서 밑의 색이 올라오는, 마치 음식에 서 재료를 숙성시켜 오묘한 맛을 자아내듯이 자연발효의 과 정을 닮아 있다.
“색은 곧 기운 - 그날 그날의 기운을 색으로 표현하고,
그 색들이 쌓여져서 마치 음식에서 재료를 숙성시켜
오묘한 맛을 자아내듯 감정의 깊이를 만듭니다.
마인드컨트롤을 통해 경건한 마음으로 하나하나 쌓은 색들로
완성된 작품 하나가 식탁의 기운을 바꾸어 줍니다. 가장 한국적인 색입니다.”